티스토리 뷰

생활문화정보

청소년 가출

디섹션 2023. 3. 31. 00:24

청소년 가출

 

 청소년 가출의 실태와 의미

청소년 가출자는 매년 약 12만명 정도이며, 이중 3~4만명 정도가 사회
로 흡수되고 있다(박부일, 1999: 20). 그리고 가출자 가운데 미성년자는
'97년 현재 약 19,800명에 이르고 있다(문화관광부, 1998). 실제로 이들 가
출청소년의 대부분은 학교를 중퇴하거나 조기탈락한 자로서 '98년 9월
현재 청소년 중퇴자 현황은 78,767명에 이르고 있다.

청소년비행문제
청소년비행문제


결국 청소년 가출이 학업기회의 단절 뿐만 아니라 유흥업소 진입과 비
행행동 개입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청소년 개인의 삶에 대한 황폐
화는 물론 청소년 주변의 많은 사람들에게 심각한 고통을 안겨 주고 있
다. 따라서 청소년 가출은 지위비행의 차원을 넘어서서 중요한 사회문제
로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Roberts는 가출유형을 세가지로 정리하였는데, 참을 수 없는 가족상황에
서 벗어난 사람, 모험을 추구하는 사람, 학교문제가 있는 사람이 그것이다.
Homer(1973)는 가정문제로부터 달아난 가출자를 '탈출형 가출'이라 하
고, 성이나 약물, 술, 쾌락을 주는 장소나 사람에게로 달아나는 즉, 즐거움
을 찾아 가는 가출자를 추구형 가출' 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Green과
Esselstyn(1972)은 가출소녀에 대하여 그들의 가출 동기별 유형을 세가지
로 구분하였다. 첫째 유형은 '떠도는 가출자'로 흔히 순간의 즐거움을 찾
아간다. 이들은 학교를 그만 두고, 한 직장에 오래 머무르지 못하며, 약물
에 의존하고, 성적인 행위를 하는 경향이 있다. 모든 일을 제멋대로 하고,
부모에 반항하며, 집에 돌아왔다가도 다시 달아나는 경우가 많다. 둘째는
'불안한 가출자'로 복잡한 가정문제에서 나온다. 이들은 흔히 가정의 허
드렛일을 도와야 하고, 어린 동생을 돌보아야 하며, 집안 살림살이를 꾸려
야 한다. 아버지는 과음을 하고 신체적으로 학대하거나 늘 잔소리를 한다.
이러한 소녀는 불안 때문에 친구집으로 가출하지만, 며칠만에 되돌아오는
경우가 많다. 셋째는 '놀란 가출자'로 흔히 아버지나 의붓 아버지의 성적
학대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가출한다(한상철, 1999).

 

가출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은 가출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가정의 불화
나 가족 내 갈등 및 스트레스를 지적하고 있다(Unger et al., 1998). 가출자
들은 아동기 동안 거주지의 잦은 변화, 빈곤, 가족갈등, 신체적 학대, 성적
학대, 부모 부재 등의 요인에 의하여 누적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
(Simon, Kipke, Unger, & Montgomery, 1996). 국내에서 상담사례 분석을 통
해 가출 청소년 문제를 연구한 장수한(1993)은 가출의 가장 직접적인 원
인으로 가정문제, 성문제, 학교문제를 들었으며, 가족 성원간의 소속감 즉,
사회적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김규수(1993)는 가출 청소년의 가족
1) 체계 특성을 연구한 결과 가출 청소년들의 가출 원인이 가족 내적 불안정
과 스트레스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에서 가출의 원인으로 가정내 문제를 가장 자주 지적하
고 있으나, 이것은 스트레스 유발 자극만을 강조하고 있는 입장이다.
Lazarus와 Folkman(1984)에 따르면, 스트레스는 자극 그 자체가 아니라
자극에 대한 개인의 지각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가족간의 갈등이나 불
화, 부모의 부재나 무관심, 정신적·신체적 학대 등과 같은 것은 스트레스
자극 요인이며, 이에 대한 개인의 지각에 따라 가출 행동이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스트레스 자극을 개인이 어떻게 지각하는가 하는 것은 개인
에 대한 사회적 지원(social support)체제에 달려있다(Weigelet al., 1998).
부모나 가족 성원 또는 친구의 지원은 생활사건에 대한 스트레스의 지각
체제를 변화시키거나 적극적 문제해결을 가능하게 해 준다(Giordano et
al., 1993; Windle, 1992). 따라서 생활사건의 스트레스 요인이 가출의 직접
적인 원인이라기보다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개인의 지각이 가출을 비롯
한 문제행동의 가장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개
인의 지각은 의미있는 개인으로부터 주어지는 사회적 지원의 양과 질에
따라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한상철, 1999).
지금까지 대부분의 연구들은 가출의 실태와 더불어 원인을 분석하는데
관심을 기울여 왔다. 그러나 청소년들 사이에 가출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
으며, 또한 시대적 상황에 따라 가정 해체나 학대로부터 탈피할 수밖에
없는 생존형 가출의 비율이 계속 증가되고 있는 상황에서 청소년 가출을

억제하기 위한 대책만으로는 더이상 한계가 있음을 지적하는 사람들도
있다(Yoder, Hoyt, & Whitbeck, 1998; Greene & Ringwalt, 1996). 가출의 원
인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여 가출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 또한 계속해서
이루어져야 하겠지만, 이와 더불어 가출한 청소년들의 생활과 위험행동을
분석하고 그들의 삶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일 또한 매우 중요
하고 시급한 과제라고 생각된다. 청소년 가출은 남자의 경우 폭력이나 마
약, 절도 등의 행위로 연결되고 있고, 여자의 경우 매춘, 절도, 마약 등의
비행과 결합되고 있다는 연구 보고(이용교, 1993)는 가출 이후 비행행동
개입의 가능성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심지어 Feitel 등(1992)과 Greene 및
Rinhgwalt(1996)는 가출 및 노숙 청소년들의 자살 시도율이 10~37% 범위
에 있음을 밝히면서, 이는 일반 청소년의 3~19%와 비교할 때 매우 위험
한 수준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가출 청소년들의 삶의 과정과 문제행동 개
입 경로를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가출 청소년의 위험행동 개입경로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다양한 생활사건으로부터 주어지는 스트레스에
대한 개인의 관리기술 부족은 가출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가출 후의
우울증이나 약물남용과 같은 위험행동의 개입 가능성을 높여 준다. 가출
후 청소년들은 가출 이전과 유사한 형태로 다양한 스트레스적인 생활사
건을 경험하게 되고, 이것을 관리하는 기술이 부족하거나 친구나 부모 등
의 사회적 지원 결핍으로 인하여 심각한 수준의 우울증과 약물사용, 그리
고 결국에는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행동을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한상철,
1999).


스트레스적 생활사건으로부터 가출 후 청소년들이 위험행동에 개입하
는 경로를 설득력있게 설명해 주는 이론이 있다. 그것은 Elder(1994, 1995)
가 제안한 생애과정이론(life course theory)으로, 그에 따르면 인간발달은
생애과정 전체를 통해 일어나는 개인-환경 상호작용의 역동적인 과정이라
고 할 수 있다. 사람은 새로운 환경 속에서 옛것과 유사한 것을 선택하려
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은 기존의 행동 성향을 강화하고 확대하는데 도움

을 준다(Caspi et als., 1989). 생애과정이론은 많은 현상들을 설명하는데 사
용되어져 왔는데, 그것은 세대간 관계(Whitbeck et als., 1993), 시골 남편과
아내의 경제적 궁핍과 심리적 고통간의 관계(Lorenz et als., 1993), 경제적
궁핍과 청소년 적응과의 관계(Conger et als., 1992) 등을 포함한다.
가출 청소년들의 경우 대부분 가출 이전에 학대적인 보호자로부터 스
트레스를 경험하였는데, 가출 후 거리의 문화와 환경은 그들 자신을 더
많은 학대 위험에 빠져 들게 만든다. 이것은 환경의 탓이라기보다 그들
자신이 선택한 것이다. 가출 후의 새로운 환경에서 가정에서의 학대 경험
과 유사한 자기 학대나 타인 학대를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더구나 거리
의 문화는 반사회적 행동을 촉진시키는데, 그것은 알코올과 약물사용 뿐
만 아니라 절도나 매춘 등과 같은 일탈적인 생존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
한 스트레스적인 생활사건의 누가적인 영향은 가출 이전의 스트레스 사
건과 결합되면서 더욱 강화되며, 결국 청소년들로 하여금 심각한 우울증
을 통해 자살을 선택하도록 만든다(Whitbecket als., 1997; Whitbeck &
Simon, 1993).
고연령자가 저연령자보다, 여자가 남자보다, 백인이 비백인보다 각각 자
살 행동 개입 가능성이 더 높은 것은 이들 각 집단의 경우 가출 이전의
스트레스적 생활사건과 유사한 것을 가출 후에도 쉽게 선택할 수 있기 때
문이며, 이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강화 확대하고 우울증을 반복 심화시키
는가 하면 결국 자살생각과 자살시도를 많이 하기 때문이다(Yoder et als.,
1998). 이와 유사하게 가족간의 정서적 문제, 가족 성원의 알콜사용, 가족
에 의한 신체적 및 성적 학대 등을 경험한 청소년들의 경우 가출 후 새로
운 환경 속에서 이와 비슷한 행동을 많이 선택할 것이며, 친구 가운데 자
살시도나 자살에 성공한 사람이 있는 청소년들의 경우 가출 후 이와 유사
한 선택을 통해 자살을 시도하는 경향이 많은 것도 같은 원리에 의해 설
명 가능하다(Yoder et als., 1998).
이밖에도 학대받은 청소년들은 그들의 분노 감점을 그들의 학대자를
향해 내재화할 수 있는데, 학대자에 대한 내재화된 분노감정은 가출 후
자기 자신이나 다른 사람에 대하여 매우 극단적인 형태로 나타나며, 이것

은 보다 높은 수준의 우울과 보다 낮은 수준의 자기존중감을 유도한다. 

 

 

 추천글

청소년비행의 구체적 형태

 

청소년비행의 구체적 형태

청소년비행의 구체적 형태 청소년문제와 비행을 논의할 때 가장 심각하면서도 광범위한 주제가 청소년폭력이다. 흡연이나 음주, 가출 등은 그 행위가 청소년이기 때문에 문제시되는 지위비행

dissection.tistory.com

 

'생활문화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돌부처 얼굴  (0) 2023.04.02
게슈탈트 심리치료의 역사적 배경  (0) 2023.04.01
청소년비행의 구체적 형태  (0) 2023.03.30
가족 갈등과 의사소통  (0) 2023.03.28
청소년기에 대한 사회적 기대  (0) 2023.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