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MTQ48 테스트 플랫폼

디섹션 2022. 11. 9. 19:18

MTQ48 테스트 플랫폼

MTQ48 를 테스트하는 플랫폼은 2015년에 1차로 업그레이드를 마치고 현재 코치, 트레이너, 연구자, 조직관리자 등 많은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욕구

최근에는 연구자와 실무자의 사용이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MTQ48 진단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는 테스트 플랫폼에 매우 안전하게 저장이 됩니다.

데이터는 두 가지 방법으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1) 응시자 본인은 진단결과 자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측정 결과에 대한 직접적인 분석 및 개인과 그룹 사이의 차이를 비교해 볼 수도 있습니다. 

2) 입력한 점수는 테스트 발행인과 AOR을 통해서만 검색과 접근을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학술 분야에서 연구자들에게 많은 흥미를 유발하고 있으며, 데이터 보호 규정을 준수하고 데이터 공급자 승인 등의 절차에 따라서 가능합니다.

업그레이드된 새로운 플랫폼은 두 가지 중요한 추가 기능을 가집니다. 하나는 추가 데이터의  맞춤 설계이고 또 다른 하나는 관리의 유연성 향상 입니다. 

 

욕구
욕구

 

 추가 데이터의 맞춤 설계

원래 추가 데이터는 개인의 나이, 성별, 직업 수준, 민족 및 모국어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 기본 설정이었습니다. 

현재는 이러한 기본적인 설정과 함께 부서나 지역 등을 추가할 수 있는 옵션이 생기었습니다.

사용자는 필요할 때마다 이러한 변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응시자가 전화 피드백을 희망하면 전화번호를 추가할 수 있으며, 민족성 정보는 사용자의 특정 요구 사항에 따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이 데이터를 내려받아서 측정 결과 점수에 대한 광범위하고 유용한 분석을 할 수 있는 것 입니다.

 

 

 멘탈력과 다른 성격 특성 측정모델과의 관계 알아보기

마인드셋, 긍증심리학, 감성 지능 등을 알아봅니다.

우리는 흔히 멘탈력이 높은 사람은 타인을 배려하지 못하거나 그들을 이해하지 못하리라 생각을 합니다. 이러한 견해가 왜 나타났는지는 쉽게 유추할 수 있지만, 연구에 따르면 이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욕구
욕구

멘탈력은 중요한 성격적 특성을 정의하고 이것을 잘 다룬다는 점에서 독보적인 개념입니다. 하지만, 21세기에 등장한 다른 영향력 있는 성격적 특성 개념들과도 상당히 많이 관련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멘탈력과 다른 개념들에 대한 연구가 함께 시너지를 낸다는 것을 인정하고 알아보고자 합니다. 이러한 가운데 마음챙김과 같은 내용은 다른 포스팅에서 추가하여 논의를 해보겠습니다.

우리는 드웩의 마인드셋과 셀리그먼의 학습된 낙관주의에 대한 연구로 시작하고자 합니다.

 

 

 마인드셋

캐롤 드웩은 미국 스탠포드 대학교의 교수님입니다. 그녀는 최근 많이 알려진 '마인드셋'이라는 개념에 대해서 몇 가지 아주 중요한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연구를 통하여 그녀는 마인드셋, 즉 마음가짐은 특히 교육계에서 많은 이들의 성공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결론지었습니다. 

마인드셋
마인드셋

그녀는 마인드셋을 성격, 마음, 의지 등의 관점에서 정의를 하였고, 연구결과 이것은 기본적으로 두 가지 유형으로 이루어진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하나는 '고정 마인드셋'이고 다른 하나는 '유연' 또는 '성장 마인드셋'입니다.

고정 마인드셋은 노력보다는 타고난 능력에 초점을 맞춥니다. 

능력이 있기에 성공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람들은 대개 성공은 쉽게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을 하고 어쩌면 그 성공에 투입하는 노력조차 다소 유쾌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실패할 때에는 다른 사람을 탓하거나 외부적인 요소에서 그 원인을 찾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 성장 마인드셋의 관점에서 도전은 아주 좋은 것이 되겠습니다.

실수로부터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실수 또한 수용을 합니다.

그들은 노력을 들여서 열심히 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그들이 가진 능력 자체보다는 후천적인 노력을 더 중요하게 여깁니다. 

게다가 능력은 훈련을 통하여 개발될 수 있습니다. 인간은 그들이 가진 능력으로 정의되지는 않았습니다.

인간은 변할 수 있고 많은 부분에서 이것에 대한 제한은 없다고 생각을 합니다. 드웩의 연구결과는 오직 성장 마인드셋만이 지속될 수 있는 성공을 가져온다는 것을 증명하였습니다.

드웩 교수가 말하는 성장 마인드셋과 클러프 교수의 멘탈력이 유사한 개념이라는 것은 아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개인이 타고난 자기 능력에만 의지하는 것이 반드시 멘탈 민감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고정 마인드셋을 갖추었다는 것과는 연관성이 아주 많이 있습니다. 

 

마인드셋
마인드셋

 학습된 낙관주의 

셀리그만은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의 심리학 교수입니다. 긍정심리학의 대가인 셀리그만 교수는 드웩 교수와 마친가지로 세상에는 비관론자와 낙관론자 두 가지 유형이 있다고 말하였습니다. 

예상할 수 있듯이 비관론자들은 낙관론자보다 인생에서 무언가를 덜 성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셀리그만 교수는 비관론자들도 낙관론자 되는 법을 배울 수 있다고 믿었지만, 실제로는 무력함이나 낙관주의 두 가지 중 하나를 배울 수 있다고 봅니다.  

 

 학습된 무기력

무기력을 느끼는 사람들은 어려운 상황을 마주하면 자신이 그 상황을 통제할 수 없다고 생각을 합니다. 즉 학습된 무기력은 다른 사람들이 항상 자신이 할 일을 알려주고 심지어 일을 대신 해주는 것의 결과물입니다. 

평소처럼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그들은 도전 상황을 피하고 자신감을 잃습니다. 다른 사람을 위하여 무언가를 대신하여 줄때 우리는 그들에게 무기력을 느끼게 만들 수 있습니다. 

마인드셋
마인드셋

따라서 셀리그만은 무기력을 유발하는 현대 교육방식과 많은 훈련 프로그램에 비판적입니다. 

학습이 제대로된 낙관주의는 우리가 처한 상황과 관계없이 세상은 기회로 가득하다고 상상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또 기회가 가득한 세상에서 우리가 무언가를 이루기 위하여서는 어느 정도의 회복탄력성이 필요하다가 생각을 합니다.

셀리그만은이것이 통제능력과 자신감,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낙관주의로 연결 된다고 말하였습니다. 

처음에 그는 행복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관하여 이야기를 하였는데 이 주제는 전세계적으로 관심이 쏠렸습니다. 그의 결론은 낙관론자들이 인생에서 더 많은 것을 성취한다는 드웩의 결론과 유사합니다. 

다시 한번 멘탈력 개념과 이 둘 사이에 분명한 시너지 효과가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멘탈력은 현재 상황을 긍정적으로 재구성하기 보다는 세상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미래를 구상을 하는 데 더욱 초점을 맞추고 있습닏.

멘탈력은 '행복'이 아니라 '만족감'의 개념에 무게를 더 두고 있습니다. 이것은 매슬로의 아이디어와 분명한 시너지를 냅니다. 

 

 욕구 단계

1950년대 초반에 아브라함 매슬로는 사람들이 5가지 '기본 욕구'에 반응한다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이 욕구들은 저마다 서로 다른 수준에서 진보적으로 작동을 합니다.

가장 중요한 요인은 가장 상위 수준의 욕구인 자아실현이 되겠습니다. 이것은 자기 잠재력을 실현하고 최선을 다하면서 삶은 목적지가 아닌 여정이라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 입니다.

이것은 근본적으로 멘탈력이 말하고자 하는 것 입니다. 이것은 만족감에 관한 것이고, 당신이 여정 중에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물론 이 여정 중에 어려움과 도전 상황을 맞닥뜨리겠지만, 노력과 능력으로 그것들을 극복할 수 있을 것 입니다. 만족감은 행복의 핵심이 됩니다. 이러한 만족은 어려운 상황에서 성취를 경험하고 그 길을 여행할 수 있도록 이러한 자질을 개발하는 것에서 비롯이 됩니다. 

여러 가지 면에서 멘탈력이 높은 사람들은 현실주의자 입니다. 그들은 상위 단계의 욕구들을 목표로 하면서 자신이 선택한 도전의 길에서 목표를 달성하면서 만족감을 얻습니다.